본문으로 바로가기
반응형

<발췌 : 가비아 라이브러리>

□ VDI란?

VDI(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란 직역하면 가상 데스크톱 인프라, 또는 데스크톱 가상화라는 뜻입니다. 실제 작동하는 컴퓨터 기기에 가상의 컴퓨터 화면을 만들어 사용하는 기술로, 대표적인 활용 예시로 집에서 사내 업무망에 접속하는 것을 들 수 있습니다.

□ DaaS란?

DaaS “Desktop as a Service”의 약어로, 사용자가 클라우드를 통해 가상 데스크톱 환경을 이용하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DaaS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데스크톱 환경에 안전하게 접속할 수 있습니다.

VDI는 데이터를 ‘중앙 서버’에 저장하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 어떤 단말기든 VDI 솔루션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사용자는 개인 단말 기기(개인 PC, 스마트폰, 태블릿 등)로 중앙 서버에 접속해서, 가상화된 화면에서 중앙 서버의 소프트웨어와 데이터를 꺼내 쓸 수 있습니다.

 

□ VDI의 원리?

VDI의 작동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기업 내 VDI 서버에 가상 머신(VM, Virtual Machine)이 생성됩니다. 이 VM에는 운영체제와 필요한 모든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② ‘원격 접속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개별 사용자의 장치와 VM을 연결합니다. 해당 소프트웨어는 키보드 및 마우스 클릭과 같이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VM에 전송하고 VM 화면을 표시합니다.

③ VM은 기업의 중앙 서버에서 실행되지만, 마치 개별 사용자의 기존 데스크톱에서 작업하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기존 데스크톱처럼 응용 프로그램을 열고, 파일을 저장하고, 문서를 인쇄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원리로 기업이 한 번 중앙 서버를 구축해 놓는다면, 직원들은 개인 노트북을 통해 업무용 소프트웨어와 데이터에 원격 접속해서 업무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에, VDI 솔루션은 많은 기업에 유용한 선택지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원격 접속이라는 장점 이외에도, VDI는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VDI의 장점

  • 원격 접속 : 사용자는 VDI를 통해 중앙 데이터 센터에 있는 가상 데스크톱 환경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에, 사용자는 재택근무 및 유연한 작업 환경에서 작업이 가능합니다.
  • 중앙 집중식 관리 : VDI는 모든 정보를 중앙 서버에 저장하므로, IT 관리자가 전체 사용자의 데스크톱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 보안 강화 : 중요한 회사 데이터가 개별 사용자 단말 기기에 직접 저장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 보안 및 접근 제어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 비용 절감 : VDI는 서버를 기반으로 작동하므로 고비용/고성능의 하드웨어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또한, 사용자 수요에 따라 인프라 및 자원을 조정하며 비용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VDI vs. DaaS 비교

데스크톱 가상화 솔루션으로 VDI 외에도, DaaS가 있습니다.

DaaS는 Desktop as a Service의 줄임말로, 데이터센터/중앙 서버와 같은 원격지로부터 사용자의 단말 기기로 가상 컴퓨터 화면을 스트리밍 해주는 서비스입니다.

DaaS와 VDI는 모두 데스크톱을 가상화하여 중앙 서버에서 관리하는 솔루션이라는 점에서는 동일하지만, DaaS는 클라우드 서비스형이고, VDI는 자체 구축형(온프레미스)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즉, DaaS는 클라우드 업체가 기업 대신 인프라를 관리해 주는 데스크톱 가상화 ‘구독’ 서비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두 솔루션에 대해, 표를 통해서 비교해 보겠습니다.

  VDI DaaS
구현기능 -데스크톱 가상화 솔루션
-다양한 기기를 통해 원격 접속 가능
-데이터를 중앙 집중식으로 관리
인프라 자체 보유
(온프레미스)
클라우드 공급사 제공
(서비스 구독형)
비용 초기 설치 비용이 많이 듦 초기 비용이 낮고 월정액 형태
확장성 제한적 클라우드 확장성 높음
접근성 기업 네트워크와의 연결 필요 어디서나 인터넷으로 접근 가능
유지보수 자체 유지·보수 필요 클라우드 업체가 유지·보수

표에서 알 수 있듯이 두 솔루션의 차이점은 먼저, 가상화 공간이 상이하다는 것입니다. VDI의 경우 사용자가 자체적으로 보유한 인프라에서 가상화가 이루어지지만, DaaS의 경우 클라우드 업체가 공급해 주는 인프라에서 가상화가 이루어집니다.

또한, 비용에 있어 차이가 있습니다. VDI를 도입하고자 하는 기업은 자체 인프라를 구축해야 하기에, 초기 비용 및 하드웨어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듭니다. 반면, DaaS의 경우 초기 구축 비용이 없으며, 월정액 형태로 클라우드 공급 업체에 사용 비용을 지불하는 형태입니다.

 

□  VDI vs. DaaS 추천 고객

그렇다면, VDI와 DaaS 서비스는 각각 어떠한 고객이 사용하면 좋을까요?

구분 VDI Daas
고객
유형
○ 보안 및 규정의 내부 관리가 최우선인 기업
-데이터와 보안을 반드시 내부에서 관리해야 하는 기업

○ 대규모 기업 및 기관

-자체적으로 운영 인력을 보유하여 보안 및 관리가 자체적으로 가능한 기업
○ 유연성이 중요한 기업
-예상치 못한 트래픽 증가에 대응할 수 있는 유연한 자원 관리가 중요한 기업

○ 관리 효율성이 필요한 기업
-인프라 관리 및 유지·보수에 대한 부담을 최소화하고 싶은 기업

○ 중소기업
-초기 인프라 투자 비용을 줄이고 싶은 기업
-비용, 유연성, 관리 효율성 모두 필요한 기업


보안 및 규정 준수를 우선시하는 기업, 또는 자체적인 운영 인력을 통해 보안/관리를 처리할 수 있는 대규모의 기업·기관의 경우 VDI 솔루션을 사용하면 좋습니다.

반면, 자원의 유연성, 인프라 관리의 효율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기업, 또는 초기 인프라 비용 투자가 부담스러운 소규모 기업·기관의 경우 DaaS 솔루션을 추천합니다.

#VDI #Daas #가상화 #VM #보안 #클라우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