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반응형

요약본만 게재합니다. (상세내용은 첨부파일 참고)

 

《 요약 》

■ (제조업 현황) 일본의 총수출에서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90.4%로(’19), 국가 경제에 있어서 제조업의 중요도는 높으나, 세계 제조업 경쟁력 순위는 2010년대 이후 중국, 한국 등과 경쟁하여 세계 4~5위로 하락

  • 일본의 저출산·고령화 현상에 따른 노동 인구 감소 문제 해결과 노동생산성 향상을 위해 국가차원에서 전략을 마련하고 스마트제조를 적극 도입
    - 세계 두 번째로 많은 신규 산업용 로봇 설치국이자, 세계에서 세 번째로 높은 제조 산업의 로봇 밀도를 지닌 국가로 평가
    - 세계에서 세 번째로 높은 스마트제조 기술력(미국 대비 79.9%)을 지녔으며, WEF의 미래 생산능력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제조 선도국 중 하나로, 특히 생산구조 평가 에서 가장 우수한 국가로 평가

■ (주요 정책 현황) 일본 내각부는 매해 국가성장전략을 수립·발표하고 있으며, 성장전략 관련 부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주요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발표·추진하는 구조

  • 매년 발표되는 일본 국가성장전략의 부제(副題)를 통해 정책흐름을 살펴보면, 과거 생산성 중심에서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통한 사회 변혁으로 확대
    - 스마트제조 관련 성장전략 목표는 생산성 제고(’13년, ’14년), 생산성 혁명(’15년) 이었으나, 2016년도부터는 신산업 창출 및 생산성 혁신(’16년), 스마트 공급망 실현(’17년), 데이터 구동형 사회로의 변화(’18년) 등 새로운 가치 창출로 확대
  • 스마트제조 관련 세부 정책은 4차 산업혁명 논의가 본격화되고 일본의 미래상인 Society 5.0 개념이 제시된 2016년 이후 본격화

■ 본 보고서는 일본의 스마트제조 관련한 주요 국가성장전략과 산업정책 및 스마트제조 관련 산업기술정책 주요 내용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분석

  • 내각부가 매년 발표하는 최상위 정책인 국가성장전략 가운데 스마트제조가 중점분야 및 전략으로 수립된 연도 위주로 내용을 조사·정리
  • 또한, 산업정책 주무부처인 경제산업성을 중심으로, 일본 전 산업에서의 4차 산업혁명 대응전략인 Connected Industries 및 신산업구조비전과 스마트제조의 핵심 요소 기술인 로봇, IoT, AI, 빅데이터와 관련된 분야별 정책의 주요 내용을 조사·정리

[ 일본의 스마트제조 관련 주요 정책 및 정부 활동 타임라인 ]

[ 일본의 스마트제조 관련 주요 정책 및 정부 활동 타임라인 ]

자료: 연구진 작성
주 : 일본의 국가성장전략은 일본재흥전략(’13~’16), 미래투자전략(’17~’18), 성장전략실행계획(’19~현재)으로 명칭변경

■ (2020년 이전) 정책 추진 초기에는 로봇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제조 고도화 중심이었으나, Connected Industries 관점 및 AI 활용을 거쳐, 최근에는 디지털전환(DX) 중심으로 확대

  • (2013~2015년) 일본 사회문제 해결과 경제 성장을 위한 수단으로 로봇을 선정하고, 이를 활용한 생산성 제고 및 제조 비즈니스 혁신으로 일본의 제조 경쟁력 제고를 추진
  • (2016~2017년) 4차 산업혁명 논의가 급부상함에 따라 2016년 미래상인 ‘Society 5.0’ 개념을 발표하였으며, 경제산업성은 2017년 산업영역에서 Society 5.0 실현을 위한 ‘Connected Industries’ 개념과 전략을 발표
    - Connected Industries는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한 일본의 핵심 추진전략이며, 스마트제조는 5대 중점 분야 중 하나로 육성 중
  • 동시에 4차 산업혁명 대응 및 ‘Society 5.0’ 실현을 위해 AI, IoT, 로봇, 빅데이터 등이 정부가 주목해야 할 핵심 기술로 지정되며, 경제산업성은 각 기술별 정책도 함께 실시 - 특히 4차 산업혁명 논의가 본격화되며 로봇 기술의 범주를 초월하는 새로운 정책 대안으로 AI와 데이터 활용을 위한 기반 마련이 보다 강조되기 시작

■ (2020년 이후) 이전에 수립한 스마트제조 정책을 일관되게 추진하고 있으며, 정책 중간점검을 통해 미흡한 부분을 분석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후속책을 마련

  • 다만, 코로나19 대응과 2050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노력으로 디지털전환(DX)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며, 생산성 향상 및 팬데믹 위기 속 유연한 대응력 강화를 위해 중소기업의 DX 가속화 방안 논의가 더욱 활발해지는 경향

 

《 결론 및 시사점 》

  • (장기 비전 제시 및 정책 일관성 유지) 일본은 Society 5.0과 Connected Industries 라는 국가 장기 비전을 제시하여, 범부처가 국가 비전을 달성하기 위한 정책 목표를 수립하고 일관된 정책을 추진
  • (민간기업 주도 장려) 민관 협력을 강조하며 스마트제조 정책 수립과정에 산업계를 참여시켜 의견을 반영하고, 정책 추진의 역할을 민간에 부여함으로써 스마트제조 정책을 민간이 주도하도록 유도
  • (스마트제조 정책 목적의 확대) 생산성 제고·사회문제해결 → 생산성 제고·사회문제 해결·신가치창출 → 생산성 제고·사회문제해결·신가치창출·지역혁신까지 점차 확대 되는 추세
  • (정부지원 대상 및 지원방식 확대) 초기에는 제조기업의 디지털화에 집중하였으나, 점차 데이터 정책이 강화되며, 일본기업의 디지털화로 확대됨에 따라 지원 방식도 스마트화 직접지원에서 DX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간접지원까지 확대

<출처: 스마트공장 추진단>

[국가별보고서_제1호] 스마트제조혁신 정책 분석(일본편).pdf
5.54MB

 

#스마트공장, #일본, #스마트제조, #스마트제조혁신, #제조혁신, #스마트공장추진단, #추진단,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