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3계층형(3티어, 3-Tier)은 수직 분할령의 한가지 예인데, 클라이언트-서버형을 발전시킨 것이다.
그림과 같이 '프리젠테이션 계층', '애플리케이션 계층', '데이터 계층'의 3층 구조로 분할돼 있어서 3계층형이라고 부른다.
프리젠테이션 계층
- 사용자 입력을 받는다.
- 웹 브라우저 화면을 표시한다.
애플리케이션 계층
- 사용자 요청(request)에 따라 업무 처리를 한다.
데이터 계층
- 애블리케이션 계층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 입출력을 한다.
3계층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시스템에 접속한다. 예를 들어 인터넷 검색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에 입력하는 화면은 프리젠테이션 계층의 웹 서버에 먼저 전달된다. 그 요청 뒤에 있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의 애플리케이션 서버(AP 서버)에 전달한다. AP 서버는 검색 키워드를 바탕으로 무엇을 검색해야 할지 판단해서 뒤에 있는 데이터 계층의 데이터베이스(DB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한다.
장점
- 서버 부하 집중 개선
- 클라이언트 단말의 정기 업데이트가 불필요
- '처리반환'에 의한 서버 부하 저감
단점
- 구조가 클라이언트-서버 구성보다 복잡
<발췌: 그림으로 공부하는 IT인프라 구조(도서)>
#3티어, #3계층, #3Tier, #웹서버, #DB서버, #AP서버 , #데이터베이스, #구조, #아키텍처
'IT >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우드, 손해 안 보고 제대로 쓰려면? – 클라우드 구성 방식 (0) | 2022.09.10 |
---|---|
클라우드, 손해 안 보고 제대로 쓰려면? – 고가용성 기능들 (2) | 2022.09.10 |
물리 서버와 논리 서버의 차이 (0) | 2021.11.24 |
IT 인프라 아키텍처란? 집약형 아키텍처 vs 분할형 아키텍처 (0) | 2021.11.22 |
[클라우드] 스냅샷이란? (0) | 2021.09.29 |